본문 바로가기

지구촌이모저모

+ 생명체 존재 가능성…‘슈퍼지구’ 발견 / 1,000경 달러 가치 ‘보물 소행성’ 탐사 박차

 

 

 

생명체 존재 가능성…111광년 위치 ‘슈퍼지구’ 발견


입력 : 2017.12.06 14:15




 

외계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구와 비슷한 이른바 '슈퍼지구'가 발견됐다.


최근 미국 텍사스 대학,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 공동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외계행성 'K2-18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지구의 '확장버전'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K2-18b는 암석형 행성으로, 태양보다 작고 침침한 별인 적색왜성 'K2-18'의 주위를 돈다. 특히 K2-18b는 '생명체 거주 가능'(habitable zone) 공간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항성과 행성 간의 거리는 생명체가 살 만한 곳인지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는데 지구처럼 행성이 태양(항성)과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적당한 위치에 놓여야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K2-18b 인근에 위치한 행성 'K2-18c'도 이번에 새롭게 발견됐는데 지구와 같은 암석형이지만 생명체가 존재할 조건은 아니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


이번 연구는 칠레 라 실라 천문대의 망원경에 설치된 고해상도 전파행성추적(HARPS)을 통해 이루어졌다.


논문의 선임저자 몬트리올 대학 라이언 클루티에르 박사는 "K2-18b는 암석으로 가득한 지구의 확대버전이자 가스로 가득찬 해왕성의 축소버전"이라면서 "향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통해 이 행성에 대한 자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K2-18c의 경우 암석형이기는 하지만 항성과 너무 가까이 붙어있어 생명체가 살 수 없다"고 덧붙였다.


2018년 발사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반사경의 지름이 6.5m에 달해 허블 우주망원경의 2.4m에 비해 2.7배에 달한다. 따라서 더 멀리 떨어진 천체를 더 상세하게 관측할 수 있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206601009&section=&type=daily&page=


 

 

 

 

1000경 달러 가치…NASA, ‘보물 소행성’

16프시케 탐사 박차


입력 : 2017.12.06 14:47



 

오는 2022년 여름 미 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한 대가 머나 먼 소행성을 향해 날아오른다.


최근 NASA는 소행성 ‘16프시케’(16 Psyche) 탐사선이 당초 예정보다 1년 앞당긴 2022년 여름에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 벨트에 위치한 16프시케(16 Psyche)는 지름이 252㎞에 달하는 비교적 큰 소행성이다.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보다 3배 정도 먼 3억 7000만㎞로, 우주적 관점에서는 코 앞이지만 인류에게는 닿기 힘든 곳에 위치해 있다.


이 탐사 프로젝트가 언론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16프시케의 독특한 특징 때문이다. 일반적인 소행성이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16프시케는 철과 니켈, 금 등 희귀 광물 덩어리로 가득찬 한마디로 ‘보물별’이다. 16프시케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면 1000경(京) 달러로 만약 이 소행성의 자원을 그대로 지구로 가져오면 글로벌 시장의 붕괴로 역설적으로 세계 경제가 망할 수준.


당초 NASA 측은 오는 2023년 가을 탐사선 발사, 2030년 목적지인 16프시케 도착으로 예정을 잡았으나 이번에 계획이 전면 수정됐다. 발사는 1년 앞당겨졌으며 효과적인 탐사선 궤도를 찾아내는데 성공해 목적지 도착은 무려 4년이나 빨라졌다. 곧 새로운 계획대로라면 오는 2026년이면 16프시케의 생생한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번 16프시케 탐사의 목적은 ‘우주판 골드러시’는 아니다. NASA 측은 "이번 탐사의 목적은 우리 태양계 생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라면서 "16프시케는 태양계 생성 초기의 물질로 만들어져 태양계 기원을 밝히는데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행성 벨트의 위치한 수많은 소행성 중에서도 16프시케는 지구의 코어처럼 니켈과 아연 등으로 이루어져 더욱 연구가치가 높다"고 덧붙였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206601010&section=&type=daily&page=

 



[아하! 우주] 초고밀도 중성자별은 얼마나 클까?


입력 : 2017.12.06 10:45




▲ 중성자별의 충돌 상상도.

(출처: Robin Dienel;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중성자별 충돌에서 중성자별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찾았다.


우주의 고밀도 천체에 대한 천문학자들의 탐구가 상당히 진척되고 있다고 우주 전문 사이트 스페이스닷컴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표적인 고밀도 천체로 꼽히는 중성자별은 기괴한 성질을 가진 천체로, 태양보다 엄청 무거운 질량의 별이 죽은 후에 남긴 유해 같은 것이다. 마치 큰스님의 다비 후 남긴 사리 같은 존재라고나 할까.


그런데 이 대항성의 사리인 중성자별은 도시만한 부피의 몸집에 질량은 무려 태양의 1.1 내지 3배에 달한다. 별의 모든 전자와 양성자가 중성자로 변환되어 어마어마한 밀도로 뭉쳐진 중성자별은 말 그대로 중성자로만 구성된 천체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성자별은 그 크기 등 대부분이 신비에 싸여 있다. 그런데 최근 드라마틱한 중성자별 충돌이 관측됨으로써 그 신비의 베일이 조금씩 벗겨지고 있는 중이다.


지난 8월 17일,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와 유럽의 비르고(VIRGO) 프로젝트가 이 시공의 주름이라 일컬어지는 중력파를 탐지했다. 중력파는 일찍이 아인슈타인이 1세기 전에 예측했던 것으로, 이번에 관측된 중력파는 지구에서 1억 3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NGC 4993 은하에서 발산된 것이었다.


10월 들어 연구진은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여 태양 질량의 2.74배가 되는 하나의 중성자별로 합체되면서 발산된 중력파라는 사실을 발표했다. LIGO가 그전에 블랙홀의 충돌로 인한 중력파를 관측한 적은 있지만, 중성자별의 충돌에서 나온 중력파를 관측한 것은 이것이 최초로 기록되었다.


과학자들은 이 중성자의 합병에서 나온 빛을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데도 성공함으로써 천체물리학에서 멀티 메신저의 신기원을 열었다.


연구팀이 중성자별의 합병을 여러가지 모델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이 분야에서 이룬 새로운 연구성과는 지난주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됐다.


시뮬레이션에 근거한 계산으로 인해 중성자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최소 21.4km 크기에 태양의 1.6배 질량이 농축되어 있음이 밝혀졌다고 한 연구자가 전했다. 이는 성냥갑 하나만한 부피의 중성자별 물질이 무려 5조 톤에 달한다는 계산이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이론연구소 소속 안드레아스 바우슈바인 대표저자는 “우리는 머지않아 더 많은 중성자별 충돌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중성자별의 내부구조에 대해서도 더 많은 정보를 얻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이광식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206601004&section=&type=daily&page=